기사 메일전송
국립생물자원관, 400만종 세균, 이젠 자원으로 활용한다 - 99% 미발굴 상태 세균자원 관리 학술회 개최
  • 기사등록 2021-11-28 16:50:49
기사수정


                     코로나바이러스 PCR검사에 사용되는 효소의 기원인 써머스

                     아크아티쿠스(Thermus aquaticus)가 발견된 미국 옐로우스톤 

                     고온열수구. /자료=국립생물자원관 



400만여 종으로 추정되는 세균 자원을 체계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범부처-민간 전문가들이 공동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머리를 맞댄다. 세균은 핵막이 없는 원핵생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생물군으로 박테리아라고도 한다.

세균 자원은 의학, 환경, 식품, 농업에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99%가 미발굴 상태이며 전 세계 학계에 기록된 세균 종수는 1만 7838종에 불과하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자생 세균 관리 및 연구 강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11월 26일 오후 서울드래곤시티호텔(서울 용산구 소재)에서 민관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학술회(포럼)를 개최한다.

이날 학술회에는 유전자원정보관리센터, 해양수산부, 농촌진흥청, 생명공학연구원, 한국미생물학회 등 각부처 및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이번 학술회는 최근 들어 세균 자원의 산업적인 활용 가치가 더욱 부각되고, 전 세계에서 신종 세균에 대한 연구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마련됐다.

예를 들어 코로나바이러스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검사에 미국 옐로우스톤 온천에서 찾아낸 세균의 효소가 쓰이고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메탄을 분해할 때도 혐기성세균인 메탄자화균이 활용된다.


                   메탄을 분해하는 메탄자화균(메틸로시스티스 MJC1)가 발견된 

                   무제치늪. /사진제공=국립생물자원관


전 세계에서 매년 1000종 이상의 신종 세균이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은 2009년부터 신종 발굴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해 지난해 세계에서 가장 많은 400여 종의 신종 세균을 발표한 바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까지 총 2012종의 자생 신종을 발표했으며, 매년 100여 종 이상의 신종을 보고하고 있다.

이번 학술회에서는 전 세계 학계에 우리나라의 신종 세균을 인정받기 위해 체계화된 연구 발표 절차와 관리 강화 방안을 논의한다.

발견된 세균을 전 세계 학계에서 신종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살아있는 균주를 서로 다른 국가에 소재한 기탁기관 최소 2곳에 기탁해야 하며, 이들 기탁기관은 학술적 목적의 다른 연구자에게 분양을 한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지금까지 해외 기탁기관에 맡겨진 우리나라 자생 신종 세균이 2012종에 이르나 이후 분양 결과와 학술연구 결과가 추적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해외 기탁 전에 우리나라 책임기관에 신고하는 절차를 마련해 2022년 1월부터 시행하고, 기탁 기관에 보관된 자생 균주의 분양 정보, 연구 결과를 매년 연말에 자료를 공유할 계획이다.

박진영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장은 “세균으로 대표되는 원핵생물은 전체 생물 산업의 60%를 차지하며 시장 규모도 3,000억 달러에 육박한다”면서 “이번 학술회에서 모아진 세균 자원 발굴 개선안이 세균의 발굴을 촉진하고, 연구자들에게는 신종 발굴의 선취권을 확보하는데 뒷받침이 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1-11-28 16:50:49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