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로에 선 기업··· ESG 딜레마에 빠지다 - 기업이 재무적 성과로만 인정받던 시대가 이제는 환경까지 생각해야
  • 기사등록 2021-03-02 12:27:38
기사수정
기업이 재무적 성과만 중시할 수 있는 시대는 저물고 있다. 투자자들의 환경 요구가 그만큼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투자처 ‘E(환경)’ 성과 요구에 국내 기업 이해·실천 부족

RE100 추진 체계화 및 ‘환경’ 표준 경영구조 개편 시급



기업이 재무적 성과로만 인정받던 시대가 저물고 있다. 이제는 환경까지 생각해야 한다. 기부금이나 비영리법인을 통한 복지사업으로 사회적 책임을 대신했던 것도 과거의 얘기다. 대안은 ESG(Environment·Social·Governance, 환경·사회·지배구조)다. 투자자들은 환경을 생각하고 인권침해가 없으며, 지배기구가 제대로 작동하는 곳이 오랫동안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업이라 여기고 있다. 기업 입장에선 위기이자 기회의 기로에 선 셈이다.



커지는 ESG 수요



ESG 경영으로의 변화를 꾀하는 기업들은 부쩍 늘고 있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국내 상장기업의 ESG 성과를 평가한 자료에 따르면, 상위 등급인 A+를 받은 곳은 2019년 전체 8곳에서 지난해 16곳으로 늘었다. 다음인 A에 해당하는 기업도 같은 기간 50곳에서 92곳으로 급증했다. ESG의 중요성을 인식해 시도하고 있다는 움직임의 방증이다.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라는 세 지표 가운데 관건은 ‘환경(E)’이라는 것이 업계의 공통된 반응이다. 하루아침에 해결되기 힘들다는 게 이유다. 기업들의 선택지는 RE100이다. 필요로 하는 전력의 100%를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한다는 이 개념은 앞으로의 리스크 대비를 위한 필수가 됐다.



변화의 속도는 빠르다. RE100 Annual Report에 의하면 참여 중인 기업의 2019년 신재생에너지 사용량은 총 113TWh(테라와트시)로, 2015년 대비 2배 이상 뛰었다. 이들 기업 전체 필요 전력의 42%를 조달할 수 있는 수준이다.



분위기 주도에는 혁신의 대표격인 애플이 있다. 이미 2018년부터 모든 건물, 데이터센터, 매장을 신재생 전력으로 운영 중인 애플은, 특히 2030년까지 전체 공급망과 제품에 있어서도 탄소중립을 달성해야 한다고 봤다. 즉, 자사와 거래하는 곳들 역시 신재생에너지로 모두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애플의 CEP(Clean Energy Program) 협력사로 있는 SK하이닉스나 대상그룹이 100% 신재생에너지로 만든 공급품을 약속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기업들이 신재생에너지를 늘려갈 수 있는 해법은 직접 발전시설을 짓거나 REC(공급인증서)를 구매하는 것이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와 PPA(전력구매계약)를 체결하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국내에선 발전공기업이 아니면 REC 구매는 불가할뿐더러 기업이 발전사업자와 PPA를 맺는 것도 안 된다. 구매 옵션이 사실상 없는 거나 다름없다. 실제 RE100에 참여 중인 기업들 대상의 설문에서 한국은 신재생에너지 조달이 가장 어려운 국가 가운데 하나로 꼽힌 바 있다.



‘무역장벽’ 불안 엄습



최근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주최의 ‘기후변화에 따른 ESG 경영 확대와 비즈니스 전략 수립방안’을 주제로 한 세미나에서 양춘승 CDP 한국위원회 상임부위원장은 “한국에 진출한 RE100 참여 기업과 국내기업의 신재생에너지 사용 촉진을 위해선 다양한 조달 옵션을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개선이 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업이 RE100을 따라야 하는 배경엔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거란 우려가 존재한다. 그보다 앞서서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배출량 감축이라는 대전제가 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1-03-02 12:27:38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