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어딘지도 모르는 화학 사고 대피소 - 안내 표지판 설치율 절반에 불과, 서울 강서구 1곳도 없어
  • 기사등록 2023-10-29 00:27:00
기사수정


           화학사고 대피장소 표지판 /사진제공=수원시


각 지자체가 지정, 관리하고 있는 화학 사고 대피소를 가르키는 표지판 설치율이 낮아 실제 사고가 발생해도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주환 의원(부산 연제구)이 화학물질안전원에서 제출받은 자료 ’화학사고 대피장소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국의 화학사고 대피장소는 1554곳으로 전체 수용인원은 212만5826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17개 시도별 인구 대비 수용인원 비율은 ▷충남이 13.98%(29만7333명)로 가장 높았고 ▷전남(11.79%/ 221만3176명) ▷경북(7.62%/ 19만5396명) 순으로 높았으며, 인구당 수용인원이 적은 단체는 ▷세종(1.05%/ 4069명) ▷대전(1.73%/ 6만3,357명) ▷서울(2.22%/ 21만1006명) 순이었다.

특히 일산화탄소 누출 등 사람들에게 치명적일 수 있는 화학사고에 대비해 1554곳을 지정해놨지만, 안내 문구나 표지판은 867곳(55.8%)에만 설치돼 대피장소를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세종시는 28곳이 지정돼 있지만 표지판은 단 한 곳도 없었다. ▷인천은 33곳 중 27곳(81.8%)이었으며 ▷서울 124곳 중 100곳(80.6%) ▷대전 71.9%(32곳 중 23곳) ▷광주 66.7%(45곳 중 30곳) 순이었다. 울산과 제주만 설치율이 100%였다.

지난 2020년 인천 남동공단 화장품 공장 2층에서 폭발과 동시에 화재가 발생해 3명이 숨지고 6명이 다쳤다. 소방관 148명, 펌프차 등 장비 66대를 투입해 2시간 35분만에 화재가 진압된 대형 사고였다.

공장에서 사용한 아염소산나트륨이 화염이 발생했을 때 반응하면 폭발 가능성이 있을 정도로 위험한 물질이었다. 인천 남동구에는 총 7곳의 대피소가 있지만 표지판이 설치된 곳은 단 한 곳도 없었다.

2020년 인천 서구 에스티케이케미칼공장에서 8t 탱크로리 차량이 폭발, 공장 벽면 일부가 무너지면서 1명이 사망하고 7명이 다쳤다. 당시 소방 대응 1단계가 발령됐는데, 인천 서구는 5곳의 대피소를 운영 중이지만 표지판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화학물질안전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9~2023.9) 화학사고 발생시 대피소로 이동한 사례는 1건이었다.

지난 9월 9일 전북 군산 OCI 공장서 화학물질이 누출돼 주민 23명이 대피소로 긴급대피했는데, 인명피해는 없었고 1시간 20여분이 지난 뒤 가정으로 복귀했지만 주민들은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다.

화학사고 대피소는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지정을 하고 있으며, 대피가능 인원과 면적은 행정안전부 민방위업무지침에 근거하여 대피면적 내 수용 인원은 1인당 0.825㎡을 적용하고 있다.

대피소 안내 표지판 의무 설치 내용을 담은 대피소 지정 및 관리 법안은 현재 국회 계류 중이다.

이주환 의원은 “대피소는 언제 어디서 터질지 모를 사고로부터 주민들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보루이지만 국민들이 알지 못한다면 사실상 무용지물”이라며 “화학사고 발생 위험으로부터 주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위치를 고지하는 등 지자체의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3-10-29 00:27:00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