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동물 유기 전국 최다 경남 밀양, 최저는 서울 서초 - 품종견 비해 믹스견 유기 3배 많아, 특히 군단위 지역에서 대폭 증가
  • 기사등록 2021-04-08 19:18:17
기사수정
시골에서 마당에 풀어놓고 키우는 마당개의 무분별한 번식과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이 없는 지자체의 무관심이 더해져 군단위 지역의 동물 유기가 증가하고 있다.
지난 5년간 어린 개체와 소위 믹스견이라 불리는 비품종견의 유실·유기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자유연대가 2016-2020년 발생한 유실·유기 동물
57만324건에 대해 분석한 결과다.

동물자유연대가 발표한 ‘2016-2020 유실·유기동물 분석 보고서’를 보면 유실·유기동물 중 0세의 비중이 2016년 3만3807건에서 2020년 6만7175건으로 두 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유실·유기동물 증가율 45.3%의 두 배가 넘는 수치다.

특히 0세 개체는 모든 연령에서 발생건수가 감소한 2020년에도 홀로 증가세를 보였다.

소위 믹스견이라 통칭되는 비품종견의 증가세도 눈에 띈다. 품종견의 경우 2016년 2만9728건에서 2018년 3만4304건까지 증가했다가 2020년 2만2605건으로 감소했다.

반면 비품종견의 경우 2016년 3만3009건으로 품종견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매년 증가세를 보여 2020년에는 7만1798건으로 품종견 대비 3.18배나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에서 눈에 띄는 것 중 하나는 도시지역의 유실·유기는 제자리거나 상대적으로 증가율이 낮은데 비해 시골지역의 증가는 크게 늘고 있다는 점이다.

구(區) 단위 지자체의 경우 2016년 3만5064건이 발생, 2019년까지 점진적으로 늘다 2020년 3만3688건으로 줄었다.

시 단위 지자체에서는 같은 기간 4만5075건에서 2020년 6만8858건으로 52.8% 늘었다. 반면 군 단위 지자체에서는 8418건에서 2만6171건으로 211% 상승했다.

인구 1만명 당 발생건수로 환산하면 2020년 현재 구 단위 지자체 14.8건, 시 단위 지자체 28.3건, 군 단위 지자체 60.1건으로 군 단위 지차체의 인구대비 발생건수는 구와 시에 비해 각각 4.06배, 2.12배에 달한다.

인구대비 발생현황의 경우 광역지자체 중에서는 제주가 연평균 82.8건이 발생해 가장 높았고, 서울이 8건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기초지자체에서는 경남 밀양시가 연평균 144.5건으로 가장 많고, 서울 서초구가 3.9건으로 가장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두 지자체의 증감율 역시 엇갈렸는데 밀양시의 경우 2016년 74.1건에서 2019년 224.9건까지 두 배나 늘어난 데 반해 서초구는 2016년 4.1건에서 2020년 3.4건으로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유실·유기동물의 입소는 늘어나는 데 반해 입양은 제자리걸음을 면하지 못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실·유기동물 입양률은 2020년 소폭 반등하기는 했지만 2016년 32.9%에서 2019년 29.5%로 되려 뒷걸음질 쳤다.

이 기간 자연사는 2016년 26.2%에서 2019년 27.7%까지 늘었다 2020년 25.6%로 감소했고, 안락사 비율은 2016년 21.1%에서 2019년 24.8%까지 늘었다 2020년 21.1%로 제자리로 돌아왔다.

밑빠진 독에 물붓기식 정책

얼핏 2020년에 자연사와 안락사가 줄어든 것으로 보이기는 하지만 데이터가 올해 1월 기준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보호중(8.9%)인 개체들이 자연사하거나 안락사 되면 해당 수치들은 2019년과 조금 낮거나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대해 채일택 동물자유연대 정책팀장은 “유실·유기동물을 보호하기 위해 입소시키는데 상해, 질병, 원인미상의 이유로 죽음에 이르는 자연사가 전체 입소 동물의 26~28%에 달하는 것은 문제”라며 “제한된 자원 내에서 동물들을 제대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발생한 동물에 대한 관리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유실·유기동물 대책을 ‘예방’으로 전환해야 한다” 지적했다.

유실·유기동물의 발생 자체를 억제하지 않고서는 아무리 예산을 늘려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것이다.

실제 유기동물 보호예산이 2017년 155.5억원에서 2019년 232억원으로 크게 늘었지만 같은 기간 유실·유기동물 수 역시 10만2593마리에서 13만5791마리로 늘어나면서 마리당 보호비용은 15만원에서 17만원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동물자유연대는 유실·유기동물 방지 대책으로 반려동물의 무분별한 번식을 막고, 분양 전 교육 등을 통해 반려동물을 키우면서 발생할 수 있는 비용과 문제들을 사전에 숙지하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어린 비품종견의 지속적인 유실·유기 증가가 마당 등에 풀어놓고 키우다 새끼를 낳고, 그 새끼가 유실되거나, 유실된 개체가 야생화 돼 다시 번식하는 악순환의 영향이 크다는 설명이다.

특히 지자체에서 마당개에 대한 적극적인 중성화 지원정책 및 홍보를 통해 무분별하게 번식이 이뤄지지 않도록 막는 것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안락사 기준 정비 필요

이와 함께 보호수준 제고를 위해 동물보호센터 입소 기준 및 절차, 위생관리, 안락사 기준 등에 대한 정비를 요구했다.

집단생활을 하는 보호소 특성상 시설 내 감염병 발생시 많은 동물들의 죽음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새로 입소한 동물을 위한 최소한의 격리공간을 확보하고, 가벼운 상해 등을 입었을 때는 상태가 악화되지 않도록 치료를 하되 회복이 어려운 중증의 질환이나 상해를 입은 경우는 적극적인 안락사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민원 해소를 목적으로 갓 태어난 새끼 고양이들의 입소 증가에 대해서도 1~2주령 개체의 경우 수유 주기가 1회/2~3시간, 생후 3주 이후에도 1회/3~4시간 정도로 빈번하고, 체온유지, 배변유도 등 세심한 돌봄이 요구돼 보호소 내에서도 생존율이 매우 낮으므로 사람에 의해 학대를 당하거나 사고를 당한 경우가 아니라면 입소를 제한하고 임보 등을 활성화하는 것이 보호소 여건을 개선하거나 동물복지적 측면에서도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그리고 APMS에 대해서는 각 지자체마다 연령, 품종 등을 입력하는 방식이 달라 자료의 활용가치가 떨어지므로 담당자가 내용을 직접 입력하는 방식보다 주어진 항목에서 선택하도록 하는 방식 등으로 변경하고, 입소동물의 처리결과 시점 등 중요한 정보를 추가로 기입할 수 있도록 보완할 것을 권고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1-04-08 19:18:17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